마태7,1-5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형제의 눈이 아니라 먼저 자신의 눈에서 들보를 빼내어라고 말씀하십니다. 들보가 무엇입니까???
들보의 규모를 알 수 있는 무우사 신자 인부 이야기
한 여름 수도원 등나무 아래에 와서 가끔 자고있다
인부 - 자기를 힘들게 하니 잠시 피하고 싶어서 왔다
스님 - 다 좋은데 다 잘하는데 술을 먹으면 도망간다는 점
서까래 300만 기둥 500만 들보 1,000만
“너는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면서,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네 눈 속에는 들보가 있는데, 어떻게 형제에게 ‘가만, 네 눈에서 티를 빼내 주겠다.’하고 말할 수 있느냐?”
보리타작때에 눈에 티를 빼내주신 작은외숙모
나의 들보 위선 3가지// 예수님의 티 공정 3가지
1.수련기때에 노래(가톨127장) 3중창 – 예수님의 성찬례 제정후 “그들은 찬미가를 부르고나서 올리브산으로 갔다.”
2. 어머니 병수발 3년후 입회하라는 부탁 – 예수님은 어머니를 마지막까지 모셨음
3. 해외선교 전에 어학 준비하라는 부탁 – 예수님은 공생활 전에 성경의 모든 구절들을 암기하셨음
이렇듯이 남의 잘못은 작아도 잘 보이는데 내 잘못은 아무리 커도 잘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위선 이라는 것은 자기 우월함을 드러내려는데서 발생합니다.
자기 우월감은 우상이나 허상과도 같은 특성을 지니고있습니다.
그런데 눈에보이고 손에 잡힌다고 모두가 실체가있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자신이 바로 허상이고 우상인데 그눈에 보이고 그 손에 잡히는 것이 참일 수없고 실체일 수는 없는 것입니다.
티끌처럼 보잘것 없는 사람이나 들보처럼 훌륭한 사람이나 모두에게 공정하신 분은 하느님 뿐이십니다.
'하느님은 공정하시고 자애로우신 분'(시편33,5)
그렇다면 우리의 삶의 표상이 재물이나 권위라면 그보다 더 확실한 우상이나 허상은 없을 것입니다.
인간의 교만과 우쭐거림은 많은 경우 재물의 힘, 또는 자기 권위에서 나오기때문입니다.
그래서 나의 우월함이 고통스러움과 챙피함을 멀리하고 있다면 그것은 실체가없는 허상을 우상으로 섬기며 살고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먼저 자기 논 속을 깨끗하게 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것과 하지 못하는 것을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비판하고 단죄하는 것은 하지말고
용서하고 베풀어 주는 것은 내가 먼저 할 때에 우리의 눈은 깨끗해 질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남을 심판하거나 판단하는 일은 천천히 하되 형제의 작은 허물을 사랑하고 용서하는 일은 서둘러 하라고 하십니다.
너는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면서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네 눈 속에 들보가 있는데 어떻게 형제에게 가만 네 눈에서 티를 빼내 주겠다 하고 말할 수 있느냐?
오늘 하루 내 눈을 가리는 우상은 무엇인지를 잘 살펴 보고 그 우상을 잘 내려 놓을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작은 위선-140623 바딸// 250623 부산협력)
'말씀한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해 연중제12주간목요일 마태7,12-29 주님의 뜻(스승) (0) | 2014.06.26 |
---|---|
가해 성요한세례자탄생대축일 루카1,57-66.90 선구자의 소명(딸) (0) | 2014.06.24 |
가해 그리스도성체성혈대축일 요한6,51-58 일치의 성사(독산1동,등촌3동성당) (0) | 2014.06.21 |
가해 연중제11주간 금요일 마태6,19-23 우리의 보물(딸) (0) | 2014.06.20 |
가해 연중제10주간금요일 파도바의성안토니오 마태5,27-32 숭고한 사랑(성바) (0) | 201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