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해 2월 8일 연중제4주간 토요일 마르6,30-34 (20250208 바딸)
마르6,30-34
오늘 복음은 오천명을 먹이신 기적, 빵의 기적 앞부분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빵을 많게하신 기적은 네 복음서에 모두 6차례 나오는데 복음서에서 소개되는 기적이야기들 중에서 동일한 주제로 6번 소개되는 기적은 빵의 기적이 유일합니다. 그 중에서 이 빵의 기적을 일으키신 이유를 비교적 상세히 전해주고 있는 복음은 오늘 복음, 마르코 복음이 유일합니다. 물론 기적을 일으키신 이유로 "가엾은 마음이 드셨다"는 말씀은 마태오/마르코복음에서 동일하게 나오지만 “가엾은 마음”이 들게 되었던 이유까지 알려주는 복음은 오늘 복음이 유일합니다. 따라서 빵의 기적의 이유의 이유인 그 가엾은 마음이 들었던 이유는 “그들은 목자 없는 양들” 같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양들이 목자가 없어서 흩어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군중을 통해서 흩어진 양들을 보았던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 예수님께서는 당신 앞에 모인 제자들을 흩어지게 하십니다. 파견된 제자들이 모여와서 경과보고를 하자 “오고가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음식을 먹을 겨를 조차 없었던”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제자들을 흩어지게 하십니다. “너희는 따로 외딴곳으로 가서 좀 쉬어라.” 그래서 그들은 “따로 배를 타고 외딴곳”으로 떠나갔습니다. 여기서 “따로 외딴곳”이라는 말은 ‘개별 장소’를 의미합니다. 제자들을 파견하실 때에는 둘씩 짝지어 함께 파견하셨지만 일을 마치고 돌아온 제자들을 쉬게 하실 때에는 홀로 ‘개별 장소’로 흩어져서 쉬도록 하십니다. 제자들이 쉬는 동안 예수님께서 군중들과 함께 하시며 그들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십니다.
따라서 오늘 복음을 통해서 우리는 함께 있어야 할 때와 홀로 머물러야 할 때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즉 사도직은 함께 하고 쉼은 홀로 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많은 경우에 이와 반대로 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일은 혼자하고 싶어하고 쉴때에는 함께 머물고 싶어하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일은 공동체 일이 아니고 쉼은 육체적 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로 떨어져서 개별 사도직을 한다고 하지만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고, 거룩한 쉼을 한다고 피정을 떠나지만 끊임없이 보고 듣고 마주쳐야 마음이 안정이 됩니다. 몸이 힘든게 아니라 그동안에 정신이 힘들었기 때문일것입니다.
개별 사도직이 아니라 공동체 사도직을 지치지 않고 길게 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한 것 같습니다. 천천히 조금씩 하는 겁니다. 생각보다 10배 천천히 하면 되지 않을까???합니다. 실제로 사도직이 1이라면 생각은 열가지 넘게 하는 것 같습니다. 생각이 흩어지지 않게 1이 되고 공동체 사도직이 10배가 된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창립자의 성공의 비결에서 기도/공부/사도직/청빈 중에서 기도에 가장 많은 결실을 배가시켜주시기를 청했던 것처럼 사도직 이외애는 우리의 모든 시간이 기도로 채워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 된다면 생각이 하나로 일치되어 공동체 사도직의 열매가 풍성해지지 않을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