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해 사순제3주간 토요일 루카 18,9-14 의로움의열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기도에 관하여 말씀하고 계십니다.
특히 바리사이의 기도와 세리의 기도를 비유를 통해 말씀하고 계십니다.
먼저 바리사이의 기도하는 모습을 살펴봅시다.
바리사이는 어떻게 기도했습니까?
예수님께서는 바리사이는 꼿꼿이 서서 혼잣말로 기도하였다라고 하신 반면
세리는 멀찍이 서서 하늘을 향하여 눈을 들 엄두도 내지 못하고 가슴을 치며 말하였다라고 묘사하고 계십니다.
여기서 예수님께서 바리사이에게는 '기도하였다'라고 하신 반면 세리에게는 '말하였다'라고만 하십니다.
즉 바리사이는 기도를 하였고, 세리는 말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둘은 어떻게 했기에 바리사이에게는 기도를 했다고 하시고
세리에게는 말을 했다고 하신것입니까?
우선 바리사이는 기도를 드릴 때 모든 형식을 다 갖추었습니다.
성전에 들어가서 제단 가까이에서 기도했습니다.
그리고 거룩하고 바른 자세로 기도를 했습니다.
그리고 혼잣말로 다른 사람들의 기도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소리를 내며 기도를 했습니다.
또 무엇이 있습니까?
결정적으로 감사의 기도를 드렸습니다.
바리사이는 자신의 의로움에 깊이 심취되었습니다.
불의한 세상에 현혹되지 않은 자신의 극기와 노력을 하느님께 돌려드렸습니다.
특히 자신의 희생정신과 봉사정신이 빈말이 아니었음을 기뻐합니다.
그런데 세리는 어떻게 했기에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서 그냥 말만 했다라고 하셨을까요?
세리는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갔으나 제단 가까이에는 다가 갈 수 없었다.
자기 옆을 지나치며 앞서 성전으로 올라가는 바리사이 때문이었습니다.
바리사이는 성구넣는 갑을 달고 긴 옷자락의 술을 휘날리며 당당하고 떳떳하게 성전을 올라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세리는 성전에는 올라갔으나 멀찍한 곳에 서 있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세리는 그러한 자신의 처지가 한탄스러워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그가 드릴 수 있었던 기도는 없어 보였습니다.
그래서 세리는 기도를 드릴 엄두도 못내고 그저 자신의 불의한 처지에 눈물 짓고 말았습니다.
눈물이 눈에 고이니 가슴이 북받쳐 올랐습니다.
성전에서 큰 소리로 울지도 못하고 눈물을 삼키고 또 삼켰습니다.
앞에서 바리사이는 두 손은 벌리고 하느님께 감사드리고 있었지만
세리는 두손을 모아 연신 가슴을 쓸어 내리기에 바빴습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그 바리사이가 아니라
이 세리가 의롭게 되어 집으로 돌아갔다.
왜 그럴까요?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바리사이는 성전에 가까이 다가갔으나 하느님과 멀리 떨어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세리는 멀찍이 떨어져 있었으나 하느님 곁에 있었습니다.
의로움의 열매인 기쁨은 내가 스스로 획득해서가 아니라
하느님께서 의롭다고 인정해 주실 때에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오늘 하루 우리도 그 기쁨의 선물을 받고 웃음을 전할 수 있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